Product

CXCR4 이형중합체(heteromer)

기존의 가설에 기반한 CXCR4 신호 차단 방식

CXCR4

기존 가설: CXCR4는 단량체(monomer) 또는 동형중합체(homomer) 형태로 존재하며, 리간드와 결합하면 동일한 세기의 신호를 전달합니다.

CXCR4 이형중합체가 세포내 신호를 강화시킨다는 실험 결과

CXCR4 heteromers

각각 CXCR4와 GPCRx의 작용제인 CXCL12와 작용제 X를 동시에 처리했을 때 각각의 작용제를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보다 세포내 전달되는 신호가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Fig.1)

CXCR4 heteromers

CXCR4만, 혹은 GPCRx만 단독으로 발현하고 있는 세포주에 CXCL12와 작용제X를 동시에 처리했을 때에는 세포내 신호전달에 큰 변화가 없었습니다. (Fig.2, 3)

CXCR4 heteromers

CXCR4만, 혹은 GPCRx만 단독으로 발현하고 있는 세포주에 CXCL12와 작용제X를 동시에 처리했을 때에는 세포내 신호전달에 큰 변화가 없었습니다. (Fig.2, 3)

CXCR4 이형중합체에 대한 새로운 가설과 세포내 신호 강화

CXCR4 heteromers
CXCR4는 특정 GPCR과 이형중합체를 형성하여 기존과는 다른 신호를 전달하거나 때로는 더욱 강화된 신호를 전달합니다.

CXCR4와 GPCRx 억제제에 의한 세포내 신호 억제 실험 결과

CXCR4 heteromers

길항제를 처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CXCL12와 작용제 X를 동시에 처리했을 때 각각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보다 세포내 신호가 강화되었습니다. (Fig. 1)

CXCR4 heteromers

처리하는 화합물의 종류와 조합에 따라 강화된 세포내 신호의 정도가 다르게 억제되었습니다. (Fig.2, 3, 4)

CXCR4 이형중합체가 있을 경우 CXCR4에 대한 길항제만 단독으로 처리할 때에는 신호가 완전히 억제되지 않았습니다. (Fig.2)

CXCR4 heteromers

처리하는 화합물의 종류와 조합에 따라 강화된 세포내 신호의 정도가 다르게 억제되었습니다. (Fig.2, 3, 4)

CXCR4 heteromers

처리하는 화합물의 종류와 조합에 따라 강화된 세포내 신호의 정도가 다르게 억제되었습니다. (Fig.2, 3, 4)

특정 조합의 길항제를 동시에 처리했을 때 강화되었던 세포내 신호가 완전하게 억제되었습니다. (Fig.4)

새로운 가설에 기반하여 CXCR4 신호를 차단하는 혁신적인 방식

CXCR4 heteromers
CXCR4 heteromers

CXCR4 억제제만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에는 임상효과가 제한적입니다.

CXCR4 heteromers
CXCR4 heteromers

CXCR4 신호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이형중합체까지 고려한 적절한 조합의 억제제들이 필요합니다.

CXCR4 heteromers